상(喪)을 입고 있는 자의 옆에서 식사를 할 때에는 결코 배불리 먹는 일은 없었다. 이것이 공자의 생활 태도였다. -예기 부모를 섬기는 도리를 말한 것이다. 겨울에는 따뜻하게, 여름에는 시원하도록 마음을 쓰고, 또 밤에는 침구를 갖추어서 편히 주무시도록, 아침에는 어버이의 기분이나 신체의 형편을 여쭈어 본다. 그것이 자식된 도리이다. 정(定)은 침구를 정돈하는 것. -예기 배고프고 배부른 때를 잘 맞추어서 다스려야 한다. 맹수를 조련하는 요령은 그 맹수가 배고파 할 때에 적당히 먹이를 주고 배불러 있을 때에는 주지 않는다.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이처럼 상대가 필요로 할 때를 잘 보아서 적당하게 여기에 대응한다. 이것이 사람을 거느리는 방법이다. -장자 Children have the qualities of the parents. (자식은 양친의 성격을 이어 받는다.)오늘의 영단어 - medicine : 의학오늘의 영단어 - realty : 부동산오늘의 영단어 - drill : 훈련, 기술, 군사훈련오늘의 영단어 - illegal : 불법적인, 불법의오늘의 영단어 - painstaking : 수고를 아끼지 않는, 근면한, 성실한: 수고, 정성, 고심Even a worm will turn. = Tread on a worm and it will turn (지렁이도 밟으면 꿈틀 한다)